반응형
▶ 감가상각(Depreciation)
: 건물이나 기계가 낡아서 가치가 떨어지는 것 ex) 새 차를 사면, 가치가 하락함(중고차됨)
(회계) 회사가 구입한 '자산'을 수년간 나눠서 '비용' 처리하는 것.
ex)현금주의 -> 공장 구매 첫 해에 10억원 지출 1회 기록발생주의 -> 공장 구매 후 매년 1억원씩 지출 10회 기록즉, 발생주의는 원가 측정, 가격 결정 위해 만든 회계처리
▶ 현금주의 vs 발생주의
현금주의 | 발생주의 |
경제적 거래를 현금을 받거나 지출하는 시점에 기록하는 회계 | 경제적 거래를 수익과 비용의 원인이 되는 사실이 실제로 발생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기록하는 회계 |
수입 - 지출 = 순수입 | 수익 - 비용 = 순이익 |
기준이 명확, 적용이 간편 자의성 배제 |
정보의 유용성이 높음 경제적 성과 반영 |
정보의 유용성이 낮음 경제적 성과 미반영 |
복잡하고 적용이 어려움 분식회계 가능성 높음 |
=> 기업의 회계처리 : 발생주의!
'회계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회계가 가지고 있는 오해 3가지 (0) | 2022.06.06 |
---|
댓글